본문 바로가기
궁금한것들

주휴수당 및 주휴일 조건과 계산하기

by 뉴타입 라이프 2021. 6. 27.

일반적으로 월급을 받는 근로자는 지급받는 월급에 특약이 없는 한 주휴일의 임금이 월급여액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시간제 근로자(속칭 아르바이트, 알바)는 주휴수당과 주휴일의 개념과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법을 알고 있어야 근로 및 임금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주휴일, 주휴수당 계산법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및-주휴일-썸네일
주휴수당-주휴일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로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서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유급 주휴일에 받는 수당을 주휴수당이라 합니다. 주휴일에는 일을 하지 않아도 1일분의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일이란? 

1주 1회 이상 근로자에게 주는 유급휴일을 주휴일이라 하고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해야 되며 소정의 근로일수란 당사자가 근무하기로 정한 날을 말합니다. 주휴일은 근로 형태 즉, 임시직, 계약직, 일용직 등에 구애받지 않으며 사업장 규모가 5인 미만의 최소 사업장에도 적용됩니다. 보통 일요일을 주휴일로 지정합니다.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주휴수당 조건)

1. 1주일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해야 합니다. 여기서 개근이란 결근이 없는 것을 말하고 조퇴나 지각이 있어도 개근에 해당합니다. (일부 업주들이 사용하는 지각 3번에 결근 1회 처리하는 경우, 결근이 아니며 그 주에 해당하는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1주일 15시간 이상 근로할 것. (주 5일 근로 시 최소 일 3시간 이상) 1주 15시간 미만 근로 시 퇴직금, 연차휴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3. 다음주 근로가 지속된다는 전제일 것. 즉, 일요일이 주휴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 월~금요일까지 개근 후 퇴사하여도 만근과 상관없이 그 주는 주휴수당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상기 조건이 충족되면 2021년 최저시급 8,720원 기준 주휴수당 포함 시급은 10,464원이 되겠습니다.

 

월급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월급 근로자의 경우 지급받는 기본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요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 주 40시간, 월 209시간 주휴수당 포함 기준 2021년 최저 월 임금액은 1,822,480원 미만일 경우 별도로 주휴수당을 요청하셔야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1. 주 40시간 이상일 경우 : 시급*8

 

2. 주 40시간 미만일 경우 : (일주일 근로 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주 40시간 미만일 경우를 예로 주휴수당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주 4일, 4시간 근무 시)

(16/40) * 8 * 시급(1만 원) = 32,000원 => 4주 계산 시 발생하는 주휴수당 128,000원

 

주휴수당 관련 상황별 지급 유무

1. 소정근로일에 결근을 하면?

  •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으나 휴일 자체는 발생합니다. (즉, 무급휴가 발생)

2. 규정 근로일 개근 후 퇴사 시 그 주 주휴수당 발생 유무

  • 다음 주 근무가 예정되어 있지 않아 주휴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해당 주에 대한 주휴수당 발생하지 않음

3. 휴가를 사용한 주에 대한 주휴수당 발생 유무

  • 휴가, 연차는 결근으로 보지 않으므로 주휴수당은 발생합니다.

4. 근로계약서 내 임금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다면?

  •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이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2021년 기준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 10,464원)

5. 약정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데 추가 근무나 대타 근무로 주 15시간 이상 근로시 주휴수당 발생 유무

  • 사업주와 약정한 근로시간 기준이므로 추가, 대타 근무로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여도 사업주와 약정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6. 비정규직 계약, 수습기간일 경우 주휴수당 발생 유무

  • 상기 주휴수당 조건에 만족한다면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7. 주휴수당 지급 기간?

  • 주휴 수당은 퇴직 후 14일 이내 지급되어야 하며, 임금 채권 소멸시효는 3년이며 공소시효는 5년입니다. 기간 내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신고 가능합니다.

8. 주휴일이 공휴일이나 다른 유급휴일과 중복 시 추가 수당 지급 유무

  • 추가로 별도 휴일 부여나 추가 휴일 근로수당을 지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즉, 주휴일이 특정 요일로 고정되어 있고 해당 주휴일과 약정휴일이 겹쳤을 때 하나의 휴일만 인정되고 그 익일까지 휴일로 지정할 의무는 없습니다.

9. 주휴일 근로 시 추가 수당 지급 유무

  • 보통 일반 사업장에서 토요일은 근로일 또는 무급휴일이며, 일요일은 주휴일로 두고 있습니다. 만약 무급휴일인 토요일에 근무하였다면 연장 근로 수당이 발생하고 주휴일인 일요일에 근무하였다면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시에는?

주휴 수당 미지급 시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있으며, 사업장으로부터 주휴수당을 미지급받았다면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 방문 신고 또는 고용노동부(온라인-홈페이지)의 자주 신청하는 민원란에서 임금체불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근로자의 기본권리 중 하나인 주휴수당, 주휴일의 개념과 계산법 및 상황별 주휴수당 발생 유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