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8

내 집 마련하는 방법(파트2: 대출 용어 DTI, DSR, LTV 정리와 MCG, MCI 알아보기)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 관련 정보들을 검색하다 보면 금융기관의 대출 요건에 모르는 대출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오늘은 내 집 마련하기 파트 2로 DTI, DSR, LTV와 같이 자주 등장하는 대출 용어와 대출상품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트 1에서 내 집 마련을 위한 주택의 선택과 매매계약의 일련의 순서를 정리하였습니다. 내 집 마련 경험이 처음이시거나 기억을 리뷰하고 싶으시다면 파트 1을 보고 오시는 것도 좋습니다. 내 집 마련하는 방법(파트1: 주택의 선택과 매매계약 하기)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주택 종류부터 시작해 교통, 편의, 교육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주택을 알아보고 보통 대출을 끼고 주택 매매를 통한 내 집 마련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대출 memo.. 2021. 8. 21.
소액임차인(소액보증금)을 위한 우선변제권 개념 이해(최신개정기준) 소액임차인의 지역별 기준금액과 우선변제금액이 21년 5월 11일부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변경된 기준과 더불어 소액임차인의 우선변제권 개념 및 기준과 우선변제권을 갖기 위한 소액임차인이 갖춰야 할 대항 조건 및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액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이란? 소액임차인(소액보증금)은 확정일자가 늦어 선순위로 변제를 받지 못하는 경우라도 임차한 주택에 대해 선순위 담보권자(주택을 담보로 잡은 기관이나 사람, 주로 은행)의 경매신청 등기 전에 대항력을 갖추면 보증금 중 일정액을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최우선 하여 변제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여기서 소액임차인, '소액'이 붙어 있으므로 소액임차인에 대한 기준이 각 지역별로 있습니다. 또한, 우선변제금도 전체 보증금이 아닌 전체 보증금의 .. 2021. 8. 18.
저당권, 근저당권 쉽게 이해하기(설정과 해지) 전세를 계약한다고 하면, 주변에선 근저당권 비율과 등기부등본을 꼼꼼히 확인하라는 소리를 자주 듣게 됩니다. 오늘은 사회 초년생이나 주택 전세 및 매매가 잦지 않은 분들을 위하여 저당권, 근저당권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당의 뜻 '저당 잡히다' '저당을 잡다' 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여기서 저당이란, 부동산이나 동산을 채무의 담보로 잡히거나 잡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예를 들면 우리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은행은 우리가 대출을 상환하지 않을 때를 대비해서 우리의 동산이나 부동산을 담보로 잡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을 은행에서 우리의 동산이나 부동산을 '저당권 설정하였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일정한 급부(채무자의 채권 내용이 되는 행위)를 하지 않.. 2021. 8. 15.
내 집 마련하는 방법(파트1: 주택의 선택과 매매계약 하기)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주택 종류부터 시작해 교통, 편의, 교육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주택을 알아보고 보통 대출을 끼고 주택 매매를 통한 내 집 마련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대출 용어'라던지 각종 '등기부등본', '부동산 정책' 등에 대한 지식과 흐름을 알고 있어야 하기에 내 집 마련을 위한 순서와 개념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내 집 마련하는 순서 목차 파트 1 : 신규주택? 기존주택? 나에게 맞는 주택 알아보고 매매 계약하기 파트 2 : 대출 용어(DTI, DSR, LTV) 정리와 대출상품 알아보기 파트 3 : 정책모기지(디딤돌 대출,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상품으로 대출하기 파트 1 : 주택 선택 및 매매계약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신규 주택이냐' '기존 주택이냐'에 대한 선택이.. 2021. 8. 12.